2022년 02월 05일
다이어트가 힘든 이유 - 자제력은 OOO에서 나온다!
'포도당과 자제력의 관계'를 다루는 논문 < Self-Control Relies on Glucose as a Limited Energy Source: Willpower Is More Than a Metaphor > 재미난 구절이 있어서 옮겨와 본다.
논문의 요지는 집중력을 요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면 혈중 포도당 레벨이 내려가고, (이와는 별개로) 포도당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집중력을 요하는 작업을 잘 수행하지 못 하며, 다른 사람을 돕는 경향도 덜한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부분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는데...
포도당이 '자제력'의 근원이라고 봐야하냐는 예상되는 반론을 아래와 같이 위트있는 예를 들었다.
By analogy, money may induce a person to continue working despite physical exhaustion, but that does not mean that physical exhaustion is essentially the result of a lack of money.(비유하자면, 돈을 받으면 육체적으로 힘든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육체적으로 힘든 상황이 돈이 부족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역시나 금융치료가 최고시다?!
we do not intend to advocate consuming large quantities of sugar as an ideal strategy for improving self-control. Eating several candy bars, for instance, may give one a boost of energy and better self-control, but these benefits are likely to disappear when glucose levels eventually drop. Protein or complex carbohydrates may be more effective for sustained self-control.(저자들은 설탕을 대량으로 섭취해서 자제력을 기르자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자면, 사탕을 먹어서 에너지 부스터 효과가 생기면 자제력이 좋아지겠지만, 사탕을 먹어서 올린 혈당은 결국에는다시 내려가기 마련이다. 단백질이나 복합당이 자제력을 유지하는데에 더 도움이 될 것이다.)
역시 고기가 최고시다?!
또 논문에서는 다이어트가 어려운 (당연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꼽고 있다.
Most obviously, dieting essentially involves restricting one’s caloric intake, and there may be an ironic conflict in which the dietary restriction produces lower glucose, which, in turn, undermines the willpower needed to refrain from eating.(다이어트에는 자제력이 필요한데 다이어트를 하면 자제력이 부족해지는 아이러니가 있다.)
===
이와 관련하여 피드백 주고 받은 부분
A. Glucose는 애초에 단기 열량 보급용이고, 어차피 여분의 glucose는 glycogen이나 지방으로 저장되기도 하구요. 제일 좋은 건 근육이 커져서 이 glucose를 최대한 많이 glycogen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공복시 풀어주는겁니다. 운동, 특히 하체 운동 (허벅지 근육이 제일 비중이 커서) 많이 하라는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B. 허벅지 근육을 키우면 지구력이 좋아진다는 것이 포도당(글루코스) 때문이군요. 근력 덕분에 오래 걸을 수 있다 그런 비유가 아니었고...
A. 반대로, 근육이 많으면, 고열량을 섭취해도 저장할 곳간이 많기 때문에 고혈당으로 인한 안 좋은 효과들을 피할 수 있습니다. 동양인은 과거 채식위주여서인지, 기본적으로 서양인보다 췌장이 작아 똑같이 먹어도 당뇨에 취약합니다. 게다가 근육양이 서양인보다 적어서인지 마른 당뇨가 많구요. 따라서, 운동을 통한 근육 증가는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 by | 2022/02/05 11:30 | 세상보는 이야기 | 트랙백 | 덧글(6)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다이어트에 성공하려면 혈당 수준은 유지하면서 인슐린이 급격히 분비되는 것을 막는 방법을 찾아야 하겠지요. 섬유소과 지방을 풍부하게 섭취하는 등.
네덜란드에서의 간단한 실험에 따르면 불평등한 분배에 대한 민감도가 고기를 먹으면 둔해진다고 합니다. 대충 10달러를 둘이 나눠 갖는데 한 사람이 분배 금액을 정하면 다른 사람이 거부하거나 받아들이는 선택을 하도록 했을 때, 아침에 스테이크를 먹고 온 사람은 2달러 8달러의 불평등한 분배를 쉽게 받아들였다고 하죠...미국의 비밀일지도..ㅋㅋ...암튼 그 실험 결과도 혈당과 관련이 있을 수 있겠네요. 공돈이니 2달러도 그냥 받아들이는게 객관적으론 합리적인 선택이니...
https://www.discovermagazine.com/mind/eating-cheese-and-meat-may-boost-self-control
이 논문말씀하시는 것인지요?
< Impact of nutrition on social decision making >
Abstract
Food intake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homeostasis, which is necessary for survival in all species. However, food intake also impacts multiple biochemical processes that influence our behavior. Here, we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cronutrient composition, its bodily biochemical impact, and a modulation of human social decision making. Across two studies, we show that breakfasts with different macronutrient compositions modulated human social behavior. Breakfasts with a high-carbohydrate/protein ratio increased social punishment behavior in response to norm violations compared with that in response to a low carbohydrate/protein meal. We show that these macronutrient-induced behavioral changes in social decision making are causally related to a lowering of plasma tyrosine levels.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 a limited sense, “we are what we eat” and provide a perspective on a nutrition-driven modulation of cognition.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education, economics, and public policy, and emphasize that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diet may extend beyond the mere physical benefits of adequate nutrition.
당뇨인 사람도 운동을 통해 근육이 늘면 아무래도 더 낫겠죠...?
따라서 당뇨환자가 운동할 경우 2~3가지 장점이 있는데요.
1) 식사(간식) 섭취 후 운동하여 혈당을 직접적으로 내리는 효과
2) 운동으로 당에 대한 내성을 늘려서 혈당 조절을 수월하게 하는 효과
3) 2)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근육양이 증가하여 얻는 이득